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

 

보건증 개요

 

 

보건증은 일반음식점, 단체급식소,패스트푸드점,유흥업종등 음식관 관련된 직장에서 일을 하기위해서 사전에 필요한 서류로 간단히 보건소에서 검사후 받을수가 있습니다.일반적인 회사에서도 입사전에 건강검진을 요구하기는 하지만 음식서비스업종의 경우 전염에 민감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보건증이 필수로 요구 됩니다.

 

보건증은 최초로 이용할때는 보건소에서 진단받은 건강진단결과서가 필요하며 검사후에 결과를 받기위해서 재방문없이 인터넷 홈페이지 g-health에서 출력후 이용 가능합니다.보건증을 인터넷으로 발급받기 위해서는 공인인증서와 출력가능한 프린터가 필요하며 크롬,파이어폭스에서는 불가능하고 익스플로러 웹브라우저를 이용해야 합니다.

 

 

 

보건증 검사항목

 

 

※요식업

장티프스, 결핵, 전염성피부질환 ->변검사(항문 면봉검사),흉부엑스레이

 

유흥업

결핵, 전염성피부질환, 장티푸스 검사, 성병(3개월에 1번씩), 에이즈 검사 ->변검사(항문 면봉검사),흉부엑스레이,채혈

 

 

 

보건증 인터넷 발급방법

 

 

 

보건증발급방법.jpg

 

 

 

▲ 먼저 보건소에서 기본검사를 받은뒤 검사결과가 나오기를 기다립니다.그리고 다시 보건소를 찾아가거나 인터넷홈페이지 G-health를 이용해 보건증을 발급받을수 있습니다.

공공보건포털(g-health)홈페이지에 접속한뒤 상단에 온라인 민원서비스 메뉴에서 마우스를 이동해보면 메뉴가 아래로 나오는데 3번째에 제증명 발급을 클릭해주세요.

 

 

 

 

보건증발급방법2.jpg

 

 

 

▲ 온라인 제증명 발급시스템 페이지가 열리면 제일먼저 보건소에 방문없이 바로 집에서 발급받을수 있다는 메세지를 확인할수가 있습니다.

유의사항에서 보면 알수 있듯이 반드시 본인의 공인인증서가 필요하며 출력가능한 프린터가 필요합니다.발급서비스는 회원가입없이도 이용가능하며 회원,비회원 모두 인증서가 필요하며 서류에 따라 결제가 발생할수도 있습니다.

 

 

 

보건증발급방법3.jpg

 

 

 

▲ 발급전유의사항 아래에보면 보건기관 찾기와 이름 주민등록번호의 양식을 볼수가 있습니다.

우측에 보건기관찾기를 눌러 검사받은 보건소를 선택한뒤 아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한후 조회하기를 클릭합니다.

 

 

 

보건증발급방법4.jpg

 

 

 

▲ 보건기관찾기메뉴에서는 특별히 선택할것없이 전체아래에서 보건기관의 지역의 군,구를 입력후 검색해주시며 되겠습니다.

예)'고성군보건소'일경우 '고성'까지 입력후 검색

 

 

 

 

보건증발급방법5.jpg

 

▲ 공인인증서를 통한 로그인이 최종적으로 완료되면 신청 및 발급내역에서 건강진단결과서(보건증)을 확인할수가 있습니다.

 

보건증을 선택해 인쇄하여 바로 공문서로 사용할수가 있습니다.

보건증외에도 일반건강진단서(국문,영문) 예방접종증명서(국문,영문)등 건강과 관련된 증명서들도 인쇄하여 사용할수가 있습니다.

 

[공공보건포털(G-heath) 보건증발급]

 

 

 

보건증 유효기간

 

 

1년마다 재검사 및 수수료 300원(유효기간 지난후에는 1500원)

 

 

 

보건증 검사기간

 

 

평균 4~5일소요